티스토리 뷰
목차
📢 9급 공무원 실수령액 알려드림. (전직 공무원입니다)
💰 9급 공무원이 받는 실제 월급 궁금하시죠? 2025년 9급 1호봉이 2,000,900원인데, 정말 이 금액만 받는건지 궁금하시지 않나요? 저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었어요.
처음부터 속 시원하게 까고 시작할게요. 1호봉 금액인 2,000,900원에서 세금, 기여금 등 엄청 떼간 뒤 다시 급식비, 직급보조비, 정근수당 등을 합하면 본봉보다 조금 높은 금액이 나옵니다.
오늘 9급 공무원 실수령액 낱낱이 알려드릴 테니 월급때문에 공무원시험 고민하셨던 분 속 시원히 해결하고 가세요!
✅ 9급 공무원 1호봉 봉급 (2025년 기준)
📌 9급 공무원 1호봉 기본급: 2,000,900원 (세전)
✅ 각종 수당 9가지(9급 기준)
💡 여기에 각종 수당이 추가됩니다. 대표적으로:
- ✅ 정액급식비: 140,000원
- ✅ 정근수당: 매달 30,000원, 1월 7월 약 100,000원 (입직 후 6개월 근무 후 지급)
- ✅ 가족수당: 약 40,000원~ (배우자, 자녀 수에 따라 다름)
- ✅ 초과근무수당: 1시간당 10,579원(57시간 상한, 10시간 기본지급 = 100,579원)
- ✅ 직급보조비: 200,000원
- ✅ 명절휴가비: 연 2회 지급 각 1,200,540원 (설·추석, 기본급의 60%)
- ✅ 성과상여금: 1년 후부터 지급 (3월, 지자체마다 상이)
- ✅ 복지포인트: 약 50만원 ~150만원 (지자체마다 상이)
- ✅ 연가보상비: 사용하지 못한 연가를 돈으로 돌려주는 제도예요. 그런데 하루 금액이 5~6만원 정도이며, 연가를 돈으로 환산한 금액을 월급에 포함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 설명만 넣어놓을게요!
💡 그래서 수당만 합쳤을 때 금액은 12개월 기준
정액급식비 1,680,000원 + 초과근무수당(매달 10시간 가정) 2,538,960원 + 직급보조비 2,400,000원 + 명절휴가비 2,401,080원 + 복지포인트(100만원 가정) 1,000,000원 = 10,020,040원
10,020,040원 / 12개월 = 835,003원이라고 볼 수 있어요!!
✅ 각종 세금 4가지(9급 기준)
💡 여기에 세금을 제외해야겠죠^^ 울지말고 봐보세요..
- ✅ 건강보험: 약 8~10만원 (이 글에서는 9만원 가정)
- ✅ 기여금: 약 22만원~25만원 (기준소득월액(위에서 본 수당을 합친 금액을 12달로 나눈 것) * 9%), 이 글에서는 23만원 가정
- ✅ 노인장기요양보험, (지방)소득세 : 약 5만원
- ✅ 상조회비 약 1만원
각종 세금은 한 달에 약 380,000원이라고 볼 수 있어요!
💸 9급 공무원 실수령액 (세금 공제 후)
그렇다면 실제로 받는 돈은 얼마일까요!!🤔
본봉 2,000,900원 + 수당 835,003원 - 세금 380,000원 = 2,455,903원입니다.
생각보다는 많이 받죠? 물론 명절휴가비가 포함되어 있어, 평달은 200만원 수준, 명절이 포함된 달에는 300만원 수준으로 차이가 납니다.
📊 공무원 장점
사기업에 비해 절대 많은 금액은 아니지만, 공무원 나름의 장점도 있습니다.
- ✅ 정년 보장 (정년퇴직 후 연금 수령 가능)
- ✅ 연차, 병가, 출산휴가 등 복지 혜택이 확실
- ✅ 명절 보너스, 성과급 등이 따로 나옴(저는 공무원 성과상여금이 있는 줄도 몰랐답니다)
💬 마무리 (전직 공무원의 솔직 후기)
📌 공무원 월급, 초반엔 적지만 근속연수와 함께 점점 오르는 구조입니다. 개인적으로는 초과근무 수당이 많으면 그나마 괜찮았어요 ㅎㅎ..
📌 9급 1호봉 기준 실수령액은 약 245만 원, 하지만 호봉이 쌓이고 승진하면 괜찮은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.